Canon WFT-E4 사용기 ...

카메라 2009. 9. 24. 08:37 |





1. WFT-E4 외관

-밧데리 하나 장착 가능하며 유선랜포트하나, USB포트하나가 측면에 있음.

- WFT-E4 외관 도장재질은 바디와는 다른 밋밋한 형태임. 바디 메모리커버 재질과 비슷.

참고로 BG-E6는 바디 마감과 같은 형태임.

- 장착시 이용하는 다이얼은 후면에만 노출되어 다이얼 돌리기 조금은 불편하나 전면에서 볼 때 외관은 좋아보임.

참고로 BG-E6는 전면,후면 모두 다이얼이 노출되어 다이얼 돌리기는 더 편리.

- WFT-E4 후면 그립부는 고무가 없이 그냥밋밋한 형태임. BG-E6는 후면 그립부에서 고무마감처리로 파지감이 좀더 좋음.

- 싱크로는 WFT-E4가 BG-E6보다 조금 더 좋아보임.

2. 밧데리 장착 및 운용

- 밧데리장착: WFT-E4는 바디 밧데리 분리하지않고 자체 밧데리 하나 넣고 바로 장착.

- BG-E6와는 달리 AA 타입의 건전지 사용불가.

- 밧데리 운용: 바디 밧데리와는 독립적으로 WFT-E4 에 장착된 밧데리만 사용.

만약 바디 밧데리가 모두 소모되었을땐 WFT-E4분리해서 바디의 밧데리 교체해줘야함 (매우 불편). WFT-E4밧데리 교체는 BG-E6처럼해주면 됨.

참고로 BG-E6는 바디밧데리 제거후 두개의 밧데리를 BG-E6에 장착후 바디와 결합하는 형태임.

두개의 밧데리를 바디가 동시에운용해 두 밧데리를 골고루 사용함. 밧데리 하나만 장착해도 바디 정상작동함.

3. 바디와 연결 요령

- 바디에 장착 후 바디 전원 켜고 메뉴 들어가면 WFT 설정메뉴 있음.

- USB 장치 사용을 위해서는 WFT 설정 메뉴에서 접속해야함.

- USB 장치 연결 해제시 반드시 바디 설정에서 먼저 연결차단해 줘야함

4. 활용성 간단 소개 (수정예정)

1) FTP

컴퓨터를 FTP서버로 설정 후 무선으로 카메라에서 촬영 순간 컴퓨터로 자동전송하거나 촬영 후 일괄전송 가능.

2) PTP

- 컴퓨터로 카메라에 무선으로 접속해서 카메라를 이용해서 마우스클릭으로 원격 촬영이 가능하며 찍힌 사진을 그때 그때 컴퓨터로 저장할수 있음. EOS유틸리티로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카메라 조작이 가능.

3) HTTP

- 카메라가 서버가 되어 컴퓨터에서 카메라에 접속하여 원격 촬영 및 CF카드에 있는 사진 확인 및 다운로드 할 수 있음.

4) 외장하드 사용

- USB 포트로 연결

-다양한 저장방식

' CF카드에 용량이 다 차면 외장하드에 기록할 수 있는 대체 형태 기록.

' 백업형태로 설정된 저장방식(예, raw+jpeg, jpeg only, raw only)대로 CF카드, 외장하드 동시에 저장 가능.

'CF카드와 외장하드에 각각 다른 파일 형태로 저장가능(예, CF에는 raw, 외장하드에는 jpeg).

' 동영상은 동시저장 안되고 CF only 또는 외장하드 only 형태로 저장됨.

- 외부미디어백업 가능

' CF카드로 촬영한 사진 파일을 카메라의 외부미디어백업 기능을 이용해 외장하드에 백업할 수 있음.

5) GPS 사용

- USB 포트로 연결

- 사진 촬영과 동시에 Geo Tagging이 이루어짐. 촬영후 다른 프로그램을 이용한 Geo Tagging에 비해 매우 편리.

- Raw 파일 형태로만 촬영시에도 Geo Tagging이 가능.

5. 장점

- 유선 랜 및 무선랜을 이용한파일 전송하는 FTP기능 등으로 스튜디오에서 활용성이 높아보임

- 고용량 외장하드를 USB포트에 접속해서 1TB(메뉴얼 참조)까지 사용가능.

' 동영상 촬영 및 보관 또는 추후 재생시 큰 장점.

' 동영상을 외장하드에만 저장되도록한 후 촬영 후 외장하드 자체로 파일을 보관하고 언제든지 필요시 바디에 연결해서 바디 엘시디에서 감상하거나HDMI 를 통해 프로젝트로 감상하면 매우 편리.또는 USB 포트 지원하는 TV에 외장하드를 바로 연결해서 감상 추천.

' 동영상이 기록된 USB 외장하드를 컴퓨터에 연결해서 백업 또는 편집이나 감상에도 편리.

' 단, FAT16, FAT32 포맷에서만 작동. NTFS 파일포맷은 인식안됨. 매우 중요.

- USB 포트를 통한 GPS 장치 장착이 가능해 촬영과 동시에 사진에 GPS 정보 입력 가능.

' Raw 파일에 Geo Tagging이 가능한게 큰 장점.

' GPS장치의 트랙정보와 함께 사용하면 여행정보 정리할때 매우 좋음.

- 외부미디어백업 가능

' CF카드로 촬영한 사진 파일을 카메라의 외부미디어백업 기능을 이용해 외장하드에 백업할 수 있음.

6. 단점

- 밧데리 운용에 있어서 바디 밧데리와는 독립적으로 자체 밧데리만을 운용하여 바디 밧데리 소모시 매번 장치 분리 후 바디 밧데리 분리해줘야함.

- USB포트가 하나여서 USB 외장하드와 GPS 동시 운용이 안됨.가장 큰 단점으로 보임.

- NTFS포맷방식의 USB외장하드는인식 안됨.FAT32 포맷 자체가 단일 파일크기가 4GB정도로 제한되므로 동영상같은 고용량 저장이 요구되는 경우 적합하지 않음. 고용량 외장하드 사용 취지면에서 볼 때 큰 단점으로 보임.

- 가격이 비교적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컴퓨터에 FTP 서버 설정하는 메뉴얼이 없음.

- 외장하드 폴더 운영에서 바디에서 인식가능한 폴더 형식만 사용해야 바디가 폴더를 인식함 (한글인식안됨).

' 개인적으로 가장 아쉬운 부분임.

- USB 유선으로 외장하드 및 GPS 연결로 인해 촬영상 약간의 방해가 됨.

- 장치 연결 해제시 연결선 분리전에 매번 바디메뉴에서 장치접속해제를 해줘야함.

' 바로 분리하면 에러가 뜨고 때론 완전 먹통이 되기도 함.

' 이땐 바디전원 오프 및 온하거나 WFT-E4 밧데리 제거 후 재장착해서 사용해야됨.

' USB 연결단자만 바디로부터 분해하면 안정적으로 자동으로 연결해지되는 형태였으면 좋겠음.

7.USB외장하드 인식

- USB를 통한 전원공급만으로 작동하는1.8인치 외장하드는 잘 인식됨.

(삼성 1.8인치 250GB USB외장하드잘 됨)

- 2.5인치외장하드도 저전력으로 USB를 통한 전원공급만으로 작동하는 외장하드는 인식가능할것으로 생각됨.

(삼성 2.5인치 500GB USB외장하드작동 잘되고 WFT-E4에 동봉된 휴대용 소프트케이스에 딱 맞아서 매우 좋음.

인식속도는 1.8인치가 좀더 빠름)

- 3.5인치 외장하드는 AC전원을 외장하드에 연결하면 USB를 통해서 WFT-E4와 정상 연결 및 사용가능.

* 삼성 USB 외장하드는 최초 포맷이 FAT32로 되어있음.

* 삼성 USB 외장하드 FAT32 포맷은 삼성 USB 유틸리티 사용하면됨 (유틸리티 다운로드: 삼성 홈페이지 고객지원사이트)

* 고용량 USB하드를 FAT32로 포맷하는 요령

- 링크참조: http://www.ridgecrop.demon.co.uk/index.htm?fat32format.htm

- 간단 요약:

  1. 다운받은 파일을 C:\에 압축풀어서 복사
  2. 제어판-디스크 관리 이동
  3. 최대 크기로 주 파티션 설정
  4. 드라이브문자 할당(예, K:)및 기억 (포맷은 하지 않음)
  5. 보조프로그램-명령프롬프트가서 fat32formatk:

- 관련 파일:

1254095159_fat32format.zip

8. 호환 GPS 장비 정보

- 호환장비

가민 60Cx, 60CSx....

*추천: 가민 60CSx

- GPS 내부의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정(디폴트:가민) 변경없이카메라와 연결할 수 있음.

- 안정적인GPS수신 및 자체 전원사용으로 인한WFT-E4밧데리 절약.

- 카메라와 연동 속도 매우 빠르고 카메라 전원 오프 후 카메라 다시 전원들어올때 GPS 수신 반응이 즉각적임.

- 60CSx 시스템 설정에서 외부전원차단시 Stay On 설정 추천.

- 비호환장비

가민 콜로라도,오레곤, eTrex H...

관련링크: http://cpn.canon-europe.com/content/technical/wifi_units_extended.do#container, 접속후 2페이지 참조

'카메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니콘 F2 시리즈 소개  (0) 2008.09.17
AS-17 소개...  (0) 2008.08.22
실버패스트 (5000ED+SA-30) 롤스캔하기...  (0) 2008.08.20
뷰스캔(5000ED+SA-30) 롤스캔하기...  (0) 2008.08.20
FE2...  (0) 2008.08.19
Posted by 블루에어
: